분류 전체보기
-
catch vs captureEnglish/Challenge - nuance 2025. 4. 18. 06:25
둘 다 "잡다" 라는 의미가 있지만, 느낌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써요. 간단하고 확실하게 비교해봅시다.🔹 1. catch – (움직이는 걸) 잡다, 붙잡다가장 일반적인 표현이야.물리적으로 손으로 잡는 것, 기회를 잡는 것, 또는 무언가를 빨리 잡아채는 상황에서 사용돼.일상 회화에서 제일 자주 씀.✅ 예문:I caught the ball.(공을 잡았어.)He caught a cold.(그는 감기에 걸렸어.)I caught the last train.(막차를 탔어.)🔹 2. capture – 붙잡다, (감정, 이미지 등을) 포착하다좀 더 포멀하고, 깊이 있는 느낌이에요.사진, 감정, 장면 등을 묘사하거나 기록할 때 자주 쓰이고,범인을 붙잡을 때도 씀 (공식적 느낌)✅ 예문:The police captur..
-
keep vs stickEnglish/Challenge - nuance 2025. 4. 18. 03:25
둘 다 "유지하다, 계속하다" 라는 의미로 쓰일 수 있지만, 뉘앙스와 쓰임새에 중요한 차이가 있어요. 쉽게 비교해볼게!✅ 1. keep – “지속하다, 유지하다”아주 일반적인 동사로, 뭔가를 계속해서 하거나 유지할 때 사용해요.넓은 상황에서 사용 가능! (규칙, 습관, 상태 등등)🔸 예문:Keep going!(계속 가!)I try to keep my room clean.(나는 내 방을 깨끗하게 유지하려고 해.)Keep practicing every day.(매일 연습을 계속해.)✅ 2. stick (to) – “고수하다, 붙어 있다”stick alone 은 "붙다"라는 뜻이지만,stick to + 명사/동명사 로 쓰이면,→ “무언가를 고수하다, 바꾸지 않고 계속하다” 라는 의미예요.어떤 계획, 규칙, ..
-
share vs haveEnglish/Challenge - nuance 2025. 4. 17. 23:53
아래 2 가지 예문을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, 느낌과 뉘앙스에 차이가 있어요. 아래에서 간단하고 쉽게 비교해줄게요."They share a deep bond" vs "They have a deep bond" 🔹 have – 소유/보유하다그 유대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말할 때 써요.단순하고 객관적인 진술 느낌.✅ 예:They have a deep bond.(그들은 깊은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.)→ 그 유대감이 존재하는 사실을 설명하는 중립적 표현.🔹 share – 함께 나누다, 공유하다감정, 경험을 함께 나눈다는 상호작용을 강조해요.더 감정적이고 따뜻한 느낌이에요.✅ 예:They share a deep bond.(그들은 깊은 유대감을 나누고 있다.)→ 서로 간에 깊은 연결이 형성되어 있고, 그걸 서로 느끼..
-
bond vs relationEnglish/Challenge - nuance 2025. 4. 17. 23:49
"bond" 와 "relation" 모두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낼 때 쓰이지만, 의미와 뉘앙스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어요.🔹 1. bond – (정서적으로 깊이 연결된) 유대감, 끈끈한 관계감정적이고 개인적인 연결을 강조할 때 사용해요.주로 가족, 친구, 애인 사이의 깊은 관계에서 쓰여요.강한 감정, 신뢰, 사랑 등을 포함할 수 있어요.✅ 예문:There is a strong bond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.(엄마와 아이 사이에는 강한 유대감이 있다.)We formed a special bond during the trip.(우리는 여행 중에 특별한 유대감을 형성했어.)🔹 2. relation – 일반적인 "관계", 연결성사람뿐 아니라 국가, 개념, 사물 간의 관계도..
-
aware vs knowEnglish/Challenge - nuance 2025. 4. 17. 23:26
🔹 1. "know" – 사실이나 정보를 "지식으로 알고 있다"정확한 정보나 사실을 머리로 알고 있을 때 사용합니다.주어가 그 정보를 명확하게 알고 있는 상태를 의미해요.예문:I know his name.(나는 그의 이름을 알고 있어.)Do you know where she lives?(너 그녀가 어디 사는지 알고 있니?)🔹 2. "aware" – 어떤 상황이나 사실을 "인식하고 있다", "깨닫고 있다"단순히 정보를 인지하고 있음 또는 깨달은 상태를 말해요.어떤 일의 존재, 중요성, 변화 등을 주의 깊게 인식할 때 써요.보통 be aware of + 명사/사실 구조로 많이 씁니다.예문:I'm aware of the risks.(나는 그 위험들을 인지하고 있어.)She wasn't aware that ..
-
Day 2 – Intermediate Vocabulary (Words 31–60)English/Challenge - 3,000 words 2025. 4. 17. 23:20
31. aware알고 있는Are you aware of the risks?너는 그 위험들에 대해 알고 있니? ✅ be aware of = ~을 인식하다32. background배경She has a background in finance.그녀는 재무 분야의 배경(경력)을 가지고 있어.33. balance균형, 잔액I try to balance work and life.나는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려고 해.34. barrier장벽, 장애물Language can be a barrier to communication.언어는 의사소통의 장벽이 될 수 있어.35. behave행동하다Please behave yourself at dinner.(Please mind your manners at dinner)저녁 식사 자..
-
attempt vs tryEnglish/Challenge - nuance 2025. 4. 17. 03:16
둘 다 "시도하다"는 뜻이지만, 톤, 격식, 강조하는 느낌에서 차이가 있어. 간단하게 정리해줄게 😎🔹 try의미: 시도하다, 해보다 (가장 일반적이고 일상적인 표현)특징: 캐주얼, 일상 회화에 자주 등장, 성공 여부와 상관없이 그냥 “해보는” 느낌예시:I’ll try to finish it today.(오늘 끝내보려고 해.)Have you tried this cake?(이 케이크 먹어봤어?)🧃 → 가볍게 해보는 느낌, 말투도 부드러움🔹 attempt의미: 시도하다, 도전하다 (좀 더 격식 있고, 중요하거나 어려운 일에 자주 사용)특징: 딱딱하거나 공식적인 느낌, 보통 성공 가능성이 낮거나 어려운 일에 씀예시:He attempted to climb Mount Everest.(그는 에베레스트 산을 오..
-
assume vs thinkEnglish/Challenge - nuance 2025. 4. 17. 03:13
둘 다 “~라고 여기다” 또는 “생각하다”로 번역되지만, 확신의 정도랑 근거 유무에서 큰 차이가 있어.🔹 think의미: 생각하다, 의견이나 판단을 말할 때특징: 일반적인 “내 생각엔 ~야”라는 표현. 어느 정도 근거나 이유가 있음.예시:I think he’s at home.(그는 집에 있을 것 같아.)What do you think about this movie?(이 영화 어떻게 생각해?)💭 → 개인적인 판단, 의견, 느낌을 말할 때 자연스럽게 사용.🔹 assume의미: (확실하지 않지만) ~라고 가정하다, 추정하다특징: 뚜렷한 근거 없이 “그럴 거라고 생각해버리는” 뉘앙스.→ 때때로 비판적으로 쓰이기도 함 ("왜 그렇게 단정 짓는 거야?")예시:I assumed you were busy, so ..